베를린(47)
-
도시건축가의 윤리 그리고 제플린 필드/ Zeppelinfeld und Zeppelinwiese
건축의 형태는 언제나 중요하다. 나에게는 더 이상 건축의 형태가 압도적으로 중요한 요소는 아니지만, 평범한 사람들이 가장 처음 느끼는 것은 건축물의 형태 혹은 그 건축물의 형태가 만들어내는 공간은 너무나 중요한 인지 요소이다. 좀 더 섬세한 사람들은 건축재료 정도나 건축물 이용할 때 편한지 불편한지가 더 생각해볼 만한 요소일 것이다. 목적지 1,2 정거장 전에 내려서 걸어가는 것이 베를린 와서 생긴 한 가지 습관이다. 환승하느니 차라리 걸어가는 편이 더 즐거워서 그런데, 고양이 식품을 사러가는 길에 마주치는 거대한 운동시설이 있다. 가끔 그 옆을 지나갈 때마다 섬뜩섬뜩함을 느낀다. 아마 Nürnberg라는 도시를 경험해봤던 이유 때문에 그런 것 같다. 한 때 건축계에서는 김수근의 비윤리적인 설계안인 남영..
2015.02.22 -
2015 우리 집을 판매하는 것을 멈춰라! /Stoppt den Verkauf unserer Wohnungen zum Höchstpreis! Mehr Demokratie wagen in Mieterfragen!
여러 기사와 글을 통해서 베를린의 주택 문제(주택 부족, 월세 상승 등)가 심각해진 상황을 전했다. 오늘도 역시 베를린 SPD당사 앞에서 작은 시위가 있었다. 추운 날씨에도 약 20여명의 사람들이 각자 준비해온 대자보와 포스터 등을 지나가는 사람들과 자동차를 향해 그리고 사회민주당을 향했다. "Stoppt den Verkauf unserer Wohnungen zum Höchstpreis! Mehr Demokratie wagen in Mieterfragen!" 주택을 고가에 판매하는 것을 멈추고, 세입자들의 질문에 귀 기울여라![각주:1]더 이상 짓지 않는 사회 주택 그리고 남은 사회 주택들이 점점 팔려나가는 이상, 월세 상승과 그리고 그로 인한 월세를 지불가능한 저렴한 주택(Bezahlbare Wohnu..
2015.02.11 -
2015 A100 연장 공사/ Verlängerung der A100
A100 (Bundesautobahn 100) 연장 구간에는 2채의 주택과 작은 도심농업공간이 있다. A100은 베를린의 도심 순환 고속도로로 1956년부터 베를린 북서쪽의 Moabit에서부터 공사가 시작되어 2004년 Neukölln의 Grenzallee까지 베를린 도심부(Ring-Bahnstrecke 내외)을 절반가량 순환하는 도심고속도로로 완공되었다. 연장공사로 Grenzallee부터 Frankfurter Allee까지 연결하는 계획이 수립되었고, 16,17번 공사구간으로 나뉘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16번 공사구간을 공사비용이 약 4억1천7백만 유로(약 5천 6백억원)이고 땅 매입비용만 5천6백만유로(7백5십억원)에 달한다 17번 공사구간은 비슷한(약간 더 많은) 규모의 공사비가 예상되는데, 1..
2015.02.10 -
도시공학의 문제, Urban Engineering
* 예전 블로그에 썼었던 글인데, 그대로 다시 올린다 Humankind's greatest creation has always been its cities. - The City, Joel Kotkin, p.xx 나는 도시공학과를 졸업했다. 하지만 단 한번도 이 도시공학이라는 용어가 마음에 든 적이 없었고, 본격적으로 설계를 시작하는 대학교 2학년 이후로는 그 도시공학이라는 단어를 입에서 꺼내봤던 기억이 없다. 그래서 지금 이 용어를 쓰는 것 자체도 굉장히 어색하게 느껴지기도 할 정도이다. 그래서 나는 보통 '도시'를 공부했다고 이야기를 했고, 그게 나의 학문적 정체성이라고 생각했다. 의무로 들어야만 했던 몇몇 수업들을 제외하고는 최대한 도시설계 스튜디오라는 프로젝트에 도움이 되는 수업들을 선택해서 들었기..
2015.02.07 -
2015 베를린의 관용
프랑스 사회를 상징하는 가치 중 하나인 톨레랑스(Tolérance)만큼이나, 베를린 사회를 (비밀리에) 상징해온 한 가치가 있다. 역시나 같은 의미의 Toleranz인데, 쓰이는 방향은 조금 달랐다. 전후 빈 집, 공터 따위에서 돈이 없는 이들이, 혹은 대안적인 삶을 사려는 사람들, 예술가들이 임시로 그 땅을 점유할 수 있게 부동산업자 혹은 정부가 암묵적으로 허용해주던 그 나름의 '관용'이었다. 그 장소는 누군가의 집이 되기도 하고, 클럽이 되기도 하고, 카페가 되기도 하고, 예술창작 공간이 되기도 하고, 슬럼이 되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스쾃, 독일어로는 Hausbesetzung이라고 불리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다. 꽤나 오랜 세월동안 불법 혹은 때로는 합법으로 누군가의 사유재산 혹은 공유재산을 점거한 ..
2015.01.25 -
거대한 도시 그리고 다양한 도시
거대함과 다양함은 당연히 다른 개념이다. 거대하다고 다양하지 않고, 다양하다고 꼭 거대하지는 않다. 흔히, Mega City라고 부르는 개념이 그렇다. 우리는 뉴욕을 런던을 메가 시티라고 부르지 않는다. 하지만 그런 도시를 목표로 급격한 성장을 해온 도시들을 우리는 Mega City라고 부른다. 내용이 아닌 양적 팽창이 주를 이뤘기 때문이다. 그 곳에는 내용이 빠져있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느낄 수 있다. 물론 뉴욕처럼 거대하면서 다양한 도시도 존재한다. 또한 다양함이라는 것이 도시에 있어서 항상 긍정적인 요소인 것도 아니다.우리가 현재 모델로 삼는 서구 사회의 Global City는 오랜 세월 동안 다양한 시도와 실험 그리고 좌절과 성장을 겪으며 지금의 도시가 되었다. 그곳에는 일년을 지내도 다 파악하기..
2015.01.21